<그 섬에 내가 있었네>
"사진을 계속할 수 있는 한 나는 행복할 것입니다.
살아 있음에 끝없이 감사할 것입니다.
나의 사진 속에는 비틀거리며 흘려 보낸
내 젊음의 흔적들이 비늘처럼 붙어 있습니다.
기쁨과 슬픔, 좌절, 방황, 분노...
내 사진은 내 삶과 영혼의 기록입니다."
비행기 안에서 가볍게 읽을 책을 고르느라
책방을 뒤적이다가 만난 책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어느 사진 작가의 이야기였습니다.
사진 작가 김영갑...
1957년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서울에 주소지를 두고 1982년부터 제주도를 오르내리며
사진 작업을 하던 중
그곳에 매혹되어 1985년 아예 섬에 정착했다.
바닷가와 중산간, 한라산과 마라도 등 섬 곳곳 그의 발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또 노인과 해녀, 오름과 바다, 들판과 구름, 억새 등
그가 사진으로 찍지 않은 것은 제주도에 없다.
밥 먹을 돈을 아껴 필름을 사고 재가 고프면 들판의 당근이나
고구마로 허기를 달랬다.
섬의 "외로움과 평화"를 찍는 사진 작업은 수행이라 할 만큼
영혼과 열정을 모두 바친 것이다.
어느 날부턴가 사진을 찍을 때면
서터를 눌러야 할 손이 떨리기 시작하고
이유없이 허리에 통증이 왔다.
나중에는 카메라를 들지도,
제대로 걷지도 먹지도 못할 지경이 되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루게릭 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병원에서는 3년을 넘기기 힘들 거라고 했다.
일주일 동아 식음을 전폐하고 누워있다가 자리를 털고 일어났다.
창고에 쌓여 곰팡이 꽃은 피우고 있는 사진들을 위해
또 점점 퇴화하는 근육을 놀리지 않으려고
손수 몸을 움직여 사진 갤러리를 만들었다.
이렇게 하여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해 만든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이 2002년 여름에 문을 열었다.
투병 생활을 한 지 6년만인 2005년 5월 29일,
김영갑은 그가 손수 만든 두모악 갤러리에서 고이 잠들었고
그의 뼈는 두모악 갤러리 마당에 뿌려졌다.
이제 김영갑은 그가 사랑했던 섬 제주,
"그 섬에 영원히 있다."
그의 저서 <그 섬에 내가 있었네>의 표지에서...
"산다는 일이 싱거워지면 나는 들녁으로 바다로 나간다.
그래도 간이 맞지 않으면 섬 밖의 섬 마라도로 간다.
거기서 며칠이고 수평선을 바라본다.
마라도에서 수평선이 넘을 수 없는 철조망이다.
외로움 속에 나 자신을 내버려 둔다.
그래도 모자라면 등대 밑 절벽 끝에 차려 자세로 선다."
"진정한 자유인이 되고 싶어 홀로 걸었다.
자유로운 만큼 고통도 따랐다.
그러나
자유로운 삶의 어두운 부분도 내 몫이기에 기꺼이 감수했다.
진정한 자유는 혼자일 때만 가능하다는 생각에
마라도에서 혹은 이름없는 섬에서 혼자 지내보았다.
그러나 며칠을 견디기 힘들었다.
그 후로 진정한 자유인이 되는 것은 체념했다."
그가 루게릭 병에 걸려 더 이상 사진을 찍을 수 없게 되자
실의에 빠져 있다가 폐교된 학교를 죽을 힘을 다하여
갤러리로 만드는 공사를 시작하였습니다.
www.dumoak.co.kr
"재료가 없어 작업을 못할 때에는
삶의 회의에 빠져 넋이 나간 사람처럼 망연자실해 있다.
그럴 때면 나를 지탱하고 있던 뿌리들이 잘려나가 줄기만 남는다.
필름이나 인화지가 바닥을 드러낼 때가 가까워지면
애간장 태우며 기다렸던 기막힌 상황을 마주하고도
카메라 대신 눈으로 찍고, 마음에 인화를 한다."
"이젠 끼니를 걱정하지 않는다.
필름값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만큼 형편이 좋아졌다.
그런데 카메라 셔터를 누를 수 없다.
병이 깊어지면서 삼년째 사진을 찍지 못하고 있다.
끼니 걱정, 필름 걱정에 우울해 하던 그 때를
지금은 다만 그리워할 뿐이다.
온종일 들녘을 헤매 다니고 새벽가지 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던 춥고 배고팠던 그 때가
간절히 그립니다."
"그 때는 몰랐었다.
파랑새를 품 안에 끌어 안고도 나는 파랑새를 찾아
세상을 떠 돌았다."
"날마다 사진을 찍는 나는 날마다 사진만을 생각합니다.
사진 찍는 일에 몰입해 홀로 지내는 동안,
그리운 사람들의 거억 속에서 내 존재가 잊혀져 갈지라도
나의 사진 작업은 계속될 것입니다."
"하늘의 변화에 따라 내 마음은 변화하고
마음의 변화에 따라 어느 한 곳을 찾아 갑니다.
같은 곳을 수십번, 수백번 반복해서 찾아 가지만
늘 새로움으로 다가 옵니다.
같은 곳을 삼백 예순날 하루도 거르지 않고 찾아도
갈 때마다 새롭기만 합니다."
그렇게 하여 만들어진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이 2002년에 오픈되었다.
두모악은 한라산의 옛 이름...
그 세월동안 사진만을 짝사랑하며
평범한 삶의 방식을 거부해 온 나를 두고
어떤 이는 부러워하고 더 많은 이들은
"정신 빠진 놈"이라는 걸진 표현으로 동정 아닌 동정을 보냈다."
"살레덕 포구에서 많은 사람들을 떠나 보내고
언덕에서 배를 지켜 보았다.
가카도 멀리 하얀 배가 사라질 때까지 지켜 보는 동안
나는 소리 없이 눈물을 흘렸다.
잠시 머물다가 떠나는 여행객들을 보내는 토박이들도
그렇게 눈물을 흘렸을 것이다."
"내가 만난 노인들 한 사람 한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 보면
크든 작든 한 덩어리의 한을 간직하고 있지만
묵묵하게 자기 몫의 삶에 열중한다.
온갖 두려움과 불안, 유혹 따위를 극복하고
삶에 열중하는 섬의 노인들은 나의 이정표였다."
"내가 눈물을 참았듯이 형제들도 눈물을 참으며
작별을 서둘었다.
사랑한다 말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다.
그 말을 하기도 전에
눈물이 먼저 흐를까봐 서둘러 자리를 피했다.
그들을 보낸 뒤 침대에 누워 흐르는 눈물을 애써 참았다.
어떤 상황이 오더라도 울지 않으리라 다짐했건만
자꾸만 눈물이 흐르는 것을 어쩔 수 없었다."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에서...
"김영갑은 이 시대에 살아 있는 작가 정신의 모델이다.
예술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美의 수도자,
지독한 가난과 고독, 외로움을 견디며 자연 속의 황홀경을 훔쳐 본 작가,
세속을 뛰어넘어 진정한 자유와 평화를 누리며 살던 기인,
제주의 오름과 대 자연을 스승처럼 받들던 자연 철학자,
사진을 찍다가 죽을 수도 있기에 결혼하지 않았다는 휴머니스트,
그는 지금 현대 의학이 포기한 루게릭 병과 한판 승부를 벌이고 있다.
누구든지 그를 만나면 할 말을 잃는다.
환자보다 문병자를 더욱 안타깝게 만드는 닌치병과 싸우면서도
그는 2년 전부터 사진 속에 투영했던 예술혼을 불러내어
관람객을 맞고 있다.
20만 장의 사닞 원고를 내걸고 예술혼 굿을 여는 분명 사진 무당이다.
시시각각으로 죽음이 숨을 조여와도 그는 결코 두려워하지 않는다.
안성(제주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의
"이어도를 훔쳐본 작가" 중에서...
눈물로 책을 읽으면서
고국에 이런 순수한 영혼의 사진 작가가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가슴이 벅차 당장이라도
제주에 달려 가 보고 싶었습니다.
책을 다 읽고서야 검색을 해 보니
두모악 갤러리는 이미 유명해져서 고국에서는 많이 알려졌고
이 블로그에도 제주에 대한 이야기에 자주 올려지고 있어서
궃이 이 포스팅을 올리기가 망설여졌지만
그냥 책을 소개하는 의미에서 올립니다.
서울에 나가는 기회가 있으면
꼭 가 보고 싶은 곳입니다.
Secret Garden의 "In Our Tears"
위의 색갈의 인용구들은 그의 저서에서
발쵀한 것이고 사진들은 인터넷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2011/03/21 11:52
'사진!너때문이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all We Dance? Irvine Park에서 (0) | 2015.07.17 |
---|---|
"작별할 수 없는 내 사랑 서러워.. (0) | 2015.07.17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어느 일몰의 시각에 (0) | 2015.07.08 |
사진으로 한류를...Mexico에서 (0) | 2015.07.03 |
멕시코의 어느 사원에서... (0) | 2015.06.29 |